2025 전세자금대출 총정리 (임차인 기준 + 지자체 지원)
전세 계약을 준비하는 세입자에게 전세자금대출은 필수적인 제도입니다. 은행별 조건뿐 아니라, 거주 지역 지자체의 보증료·이자 지원을 받으면 훨씬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 2025년 기준 임차인용 전세자금대출 제도를 은행 + 지자체별로 정리했습니다.

🏦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비교
은행 | 대출 한도 | 금리 (연) | 보증기관 | 특징 |
---|---|---|---|---|
KB국민은행 | 최대 5억 원 | 연 3.5% ~ 5.5% | HUG / HF / SGI | 청년·신혼부부 우대금리 제공 |
신한은행 | 최대 4억 원 | 연 3.7% ~ 5.8% | HUG / HF | 모바일 간편 신청 가능 |
우리은행 | 최대 5억 원 | 연 3.6% ~ 5.6% | HUG / SGI | 신혼부부 특화 상품 보유 |
하나은행 | 최대 4억 원 | 연 3.8% ~ 5.9% | HUG / HF | 외국인 임차인도 일부 가능 |
NH농협은행 | 최대 3억~4억 원 | 연 3.5% ~ 5.7% | HUG / HF | 농협 단독 우대금리 |


🏢 지자체별 전세자금대출 지원 (2025 기준)
지역 | 지원 내용 | 대상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서울특별시 | 보증료 전액 지원 | 청년·신혼부부, 무주택 세대주 | 서울주거포털 |
부산광역시 | 보증료 + 이자 일부 지원 | 청년·신혼부부, 소득 5천만 원 이하 | 부산시청 |
경기도 | 보증료 지원 + 이자 1% 보전 | 청년(19~34세), 신혼부부 | 경기도청 |
인천광역시 | 보증료 지원 | 무주택 청년·신혼부부 | 인천시청 |
대구광역시 | 보증료 일부 지원 | 소득·자산 요건 충족자 | 대구시청 |


⚠️ 유의사항
- 대출금은 임차인 계좌가 아닌 임대인 계좌로 직접 지급
- 보증료 지원 여부는 지자체 예산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
- 무주택 세대주 요건과 소득·자산 기준 충족 필수
- 전입신고·확정일자 필수 → 보증보험 가입 조건

✅ 결론
2025 전세자금대출은 은행별 조건과 지자체 지원을 함께 고려하면 훨씬 유리합니다. 특히 서울·부산·경기처럼 보증료·이자 지원이 확대된 지역에서는 부담 없이 전세 계약을 진행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해보세요.
🔖 추천 태그
#전세자금대출 #2025전세대출 #청년전세 #신혼부부전세 #보증료지원 #이자지원 #서울주거포털 #부산전세대출